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파이어맨입니다.
오늘은 연금저축펀드에 대해서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.
주식 및 재테크 관련 글을 쓰려고 생각하면서 꼭 써야겠다고 생각한 것이
직장인으로서 연말정산 세액공제상품인 연금저축펀드입니다.
그리고 비슷한 상품인 연금저축보험이 아니라 연금저축펀드라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.
연금저축보험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연금저축펀드로 꼭 이전하시길 추천드립니다.
저도 올초에 연금저축보험상품에서 연금저축펀드상품으로 계좌 이전하였습니다.
아래는 연금저축펀드에 대해서 잘 설명되어있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.
앞으로 평균수명이 계속 늘어날 예정이고 100살까지 그 이상 살 수도 있는 상황에서 노후연금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.
평생 수명이 늘어난 이유도 있지만 혜택이 좋기 때문입니다.
연금저축 편드를 운영할 경우 세액공제 16.5%를 받을 수 있는데 만약 자신이 직접 운영하여 연금저축펀드수익(연 16.5%+ 연금저축펀드운영수익율)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다면 별로 의미가 없는 제도일 수도 있습니다. 그런데 투자를 해본 사람이면 안전하게 16.5%의 수익을 내기도 쉽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연금저축펀드를 하는 것입니다.
박곰희TV님은 위의 자료로 최소 월 155만 원 적정 228만 원 정도로 얘기하시는대요.
제가 생각하는 연금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.
그럼 어떻게 하냐고 하시면 앞으로는 언제까지 살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.
그래서 은퇴를 하고 연평균 수익률 >= 물가상승률 + 1년 소비액이 커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
연평균 수익률이 물가상승률 + 1년 소비액보다 크다면 계속 자산은 늘어나고
그 늘어난 자산으로 평생 놀고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(은퇴를 할 수 있는 시기가 되는 거죠)
아래는 낙원 계산기라는 사이트인데요.
물가상승률과 월소 비액을 기반으로 자신의 연평균 수익률과 언제 은퇴를 할 수 있는지를 계산하는 사이트입니다.
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합니다.
5500만 원 이하인 사람은 16.5%, 5500만 원 초과인 사람은 13.2%의 세액공제를 해줍니다.
넣을 수 있는 돈은 1년에 총한도는 1800만 원이지만 세제혜택을 주는 돈은 400만 원까지입니다.
400만 원만 넣으세요^^
이자소득세(15.4%)를 빼지 않고 별도로 연금수령 시 연금소득세를 받습니다.
연금수령 시 세금은 55세~70세 미만은 5.5%, 70세 이상 80세 미만은 4.4%, 80세 이상은 3.3%를 내게 됩니다.
(이자소득세를 받지 않지만 이자소득세는 즉시 금액이고 연금소득세는 전체 금액에 대한 세금을 떼는 방식이라 어떤 것이 크다고 할 수 없지만 수익률이 높아질수록 연금소득세를 떼는 것이 이익입니다.)
총 누적금액의 16.5%가 세금으로 제외하고 받을 수 있습니다.
(결혼, 주택구입 등 사용용도가 있는 돈은 넣지 않으셔야 합니다.)
만약 급하게 돈이 필요하시면 담보대출을 신청하시면 60% 정도까지 나온다고 합니다.
저와 같이 연금저축보험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은 계좌 이전 제도가 생겨서 증권사 앱에서 바로 계좌 이전을 하여 증권사에서 연금저축펀드로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.
당장 구매할 펀드나 상품이 모르신다면 MMF에 넣어두시면 됩니다.
|
아래와 같이 연금저축펀드를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을 나누어서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게 구성하면 됩니다.
저는 것과 조금 다르게 운영하고 있지만 다음에 제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도 공개하고 그렇게 구성한 이유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왜 저렇게 포트폴리오를 가져가는지는 책을 구매하셔서 보시면서 자신의 투자성향과 맞는지 확인하시고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.
[보도자료] 한국은행에서 본 2021년 자산시장(부동산, 주식)의 방향은? (0) | 2021.01.03 |
---|---|
[책리뷰] 마법공식 -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 - ROC? GP/A? (0) | 2020.12.26 |
[투자용어] 위험 대비 수익률 지표 - 샤프지수(Sharpe Ratio)란 무엇인가? (0) | 2020.12.21 |
[책리뷰] 플랫폼 레볼루션을 통한 투자 아이디어는? (0) | 2020.12.20 |
[사경인TV리뷰] 주식투자란 무엇인가? (0) | 2020.1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