블록체인 기술의 한계요인
한계요인 |
내용 |
불명확성 |
-기본 값의 경우 블록체인의 콘텐츠, 트랜잭션, 기록데이터 그 자체는 암호화하지 않음 |
보안과 위험이 상존 |
-개인에 대한 정보가 너무 많으면 개인의 보안이 침해되는 문제 발생 |
정보의 공유로 범죄노출 가능성 증대 |
-블록체인에 사용하는 키는 훔칠 수 있는 것으로, 범죄를 더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지만 이를 완벽하게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 |
접근권한과 승인절차로 거래지연 |
컨센서스(Consensus): 거래승인에 필요한 참가자들의 합의 과정이 거래 속도에 영향을 미침 |
최첨단 기술의 한계 (Bleeding Edge) |
- 여러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기술적 성숙도가 낮음 - 엔터프라이즈급 배포를 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기에 아직 도달하지 못함 |
내재 비용 (Inherently More Costly) |
- 스토리지 문제 - 중앙집중화 시스템에 비해 높은 컴퓨팅 파워가 요구됨 |
활용 표준화 미비 |
-합의된 공통 표준에 대한 논의가 부족 |
<자료> “블록체인이 주류 기술이 될 수 없는 7 가지 이유”, Scott Carey, 2015.
사물인터넷에서의에너지연구기술동향 (0) | 2017.07.19 |
---|---|
스타트업 양성 공유 작업 공간 해커 도조(Hacker Dojo) (0) | 2016.05.24 |
5G의 주역은 IoT, 새로운 저전력ㆍ장거리 무선기술이 핵심 (0) | 2016.05.09 |
끝없는 가능성을 향해 열리고 있는 가상현실의 문 - LGERI (0) | 2016.05.09 |
양자컴퓨팅시스템 개발 및 활용 동향 - ETRI (0) | 2016.05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