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 파이어맨입니다.
오늘은 상장지수펀드에 대해서
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.
ETF는 Exchange Traded Fund로,
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하여
주식과 동일하게 투자가 가능하도록
만든 상품입니다.
보통 특정 지수를 바탕으로 하는
패시브 펀드의 형태입니다.
ETF의 종류 | 분류 |
국내 주식형 ETF | 국내 지수 ETF |
국내 업종, 섹터 ETF | |
국내 기타 ETF | 해외 주식 ETF |
해외, 국내 채권 ETF | |
레버리지, 인버스 ETF | |
원자재 ETF | |
해외 상장 ETF |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ETF |
펀드와 같이 매일 기준가격을 산정합니다.
장중에는 실시간 가격(iNAV)제공되어
거래할 때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.
ETF는 대부분 10종목 이상의
자산으로 구성되어있어
ETF만으로도 분산투자의 효과를
얻을 수 있습니다.
주식매매와 동일하게
시간 및 가격을 고객이 선택하여
실시간으로
매수 및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.
ETF의 자산구성내역을 공시하여
자산구성 현황을 손쉽게
확인할 수 있습니다.
주식, 채권, 상품(비금속, 콩, 원유, 금,은등), 외환등
직접 투자하기 힘든 자산에도
손쉽게 투자가 능하여
자산배분 전략을 쉽게 할 수 있게
도와 줍니다.
코스피 전체를 시총기준으로
자신이 구성한다면
엄청난 비용이 필요하지만
ETF는 소액으로 쉽게
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.
거래 수수료가 펀드보다 적습니다.
관련 지수에 투자하는 것은
개별 종목에 투자하여 오르는 것에 비해서
수익률이 낮습니다.
적은 변동성은 장점도 되지만
단점으로도 작용합니다.
여러 종목을 가지고
운영이 되기 때문에
왜 가격이 떨어졌는지
올랐는지 분석하기가
쉽지가 않습니다.
ETF세금은 국내주식형 ETF, 국내 상장 기타ETF,
해외 상장 ETF로 나뉩니다.
ETF 구분 | 세금 설명 |
국내 주식형 ETF | 매매차익 비과세, 분배금에는 배당소득세 부과, 금융소득 종합과세 O (합산, 배당소득세만) |
국내 상장 기타(해외주식형) ETF | 매매차익 & 분배금에 배당소득세 부과 금융소득 종합과세 O (합산) |
해외 상장 ETF | 분배금에 배당소득세 부과, 매매차익에는 250 이상의 금액에 22%의 양도세가 부과 금융소득 종합과세 (분리과세,배당소득세만) |
세금으로만 보면 국내 상장 기타 ETF가
해외 상장 ETF보다 불리합니다.
해외 상장 ETF는 종합과세가 분리과세이고
250만원 공제가 있지만
국내 상장 ETF는 없습니다.
2022년까지 세금으로는
국내 주식형 ETF > 해외 상장 ETF > 국내 상장 기타 ETF 순입니다.
금융투자 소득 과세표준
국내 상장주식 및 공모 주식형펀드
금융투자소득(5,000만원)공제
기타 금융투자소득(250만원) 공제
구분 | 국내 주식형 ETF | 국내 상장 해외 주식형 ETF | 해외 상장 ETF |
매매차익 | (주식등 다른 투자소득과 합산하여) 5천만원 공제 후 금융투자소득 20% |
국내 기타, 해외 상장 ETF합 250만원 공제 후 금융투자소득 20% |
국내 기타, 해외 상장 ETF합 250만원 공제 후 금융투자소득 20% |
배당금(분배금) | 기존과 동일 (배당소득세 15.4%) |
기존과 동일 (배당소득세 15.4%) |
기존과 동일 (배당소득세 15.4%) |
금융소득 종합과세 | 기존과 동일 (과세 O) - 배당소득이 2천만원 이상인 경우 과세 |
기존과 동일 (과세 O) - 차익,배당소득이 2천만원 이상인 경우 과세 |
기존과 동일 (과세 O,분리 과세) - 배당 소득이 2천만원 이상인 경우 과세 |
국내 상장 해외 주식 ETF와
해외 상장 ETF의 차이나는 이유
국내에 상장된 해외형 ETF는
'해외 펀드'로 분류돼
매매 차익에 대해
모두 배당소득세 15.4%를 내야 한다.
게다가 이익 2000만원이 넘으면
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돼
최고 46.2%의 세율이 붙는다.
하지만 해외 증시에 상장된 ETF는
해외 개별 주식으로 취급하기 때문에,
일단 수익 250만원까지는 세금을 면제해주고
초과금에 대해서만 양도소득세 22%가 붙는다.
여러 종목에 투자했을 때
이익과 손실을 합쳐 순이익에 대해서만 과세하는
'연간 손익 통산 과세'도 해외 상장 ETF에만 해당된다.
연금저축펀드나 퇴직연금계좌를 제외하면
국내 상장 기타 ETF는 사면 안되겠네요.
관련 내용 화면
네이버 증권 > ETF검색 > ETF분석에 들어가시면
순자산가치(NAV)추이를 보실 수 있는데
실제 순자산가치보다 싸게 팔리는 경우가 있습니다.
매매하실때 순자산가치를 고려해서
매매하시길 바랍니다~
ETF의 정의, 종류, 장단점을 알아봤는데요.
투자에서 나중에는 결국 세금으로
수익이 많이 나누어 질 것 같습니다.
수익률과 절세를 동시에
계획해서 성공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.
[책리뷰] 클라우스 슈밥의 위대한 리셋 (4) | 2021.03.23 |
---|---|
[책리뷰] 다시 쓰는 주식 투자 교과서 -채권쟁이 서준식의,처음 시작할 때 알았어야 할 채권과 금리 활용법 (2) | 2021.02.22 |
[주식교육] 주식투자를 위해서 어떤 공부를 해야 할까? (8) | 2021.02.14 |
[주식교육] 재테크를 위해 알아야 하는 것(공부해야 하는 것) (3) | 2021.02.13 |
[주식교육] 재테크를 꼭 해야 하는 이유 (15) | 2021.02.12 |